01. 1977년 3월 1일: 김득중 원장이 개국이래 최초의 민간 예절연구기관 한국전례연구원을 임의설립하다.
韓國典禮硏究院 設立趣旨 이 시대를 일러 버릇없는 세상이라고 한다. 東方禮儀之國의 영광은 어디로 가고 이렇듯 道德 倫理와 禮儀정신이 무너졌을까? 단군기원 4310(서기1977)년 3월 1일 金 得 中 |
02. 1983년 3월 1일: 건국이래 최초로 순연인성 함양과 예의한국 재건을 주장하며 예의생활실천운동을 시작하다.
禮儀生活實踐運動 展開趣旨 禮는 사람이 스스로 바르게 하는 自律과 사람다우려는 精神으로 생각하고, 말하고, 행함에 있어서 따라야 할 規範이다. 1983년 3월 1일 |
03. 1985년 9월 7일: 잡지사상 최초의 예절잡지 ‘協 贊謝報’, 뒤에 ‘月刊 實踐禮節’을 발행하여 전국의 교육․문화기관에 무가로 배포하기 시작하다.
월간 실천예절 발행취지
‘월간 실천예절’의 발행은 한국인이 참한국인이기를 바라는 조그만 정성의 소산이다. 1987년 3월 1일 韓 國 典 禮 硏 究 院 院 長 |
04. 1986년 3월 14일: 경북 예천 대창고등학교 유림 대상 강의에서 우리 겨레나라의 고유명사인 ‘동방예의지국(東方禮儀之國)’의 전거를 발표하다. 1993년 1월 29일에 교육부장관이 문서로 인정하다.
교 육 부 우)110-760 서울 종로구 세종로 77 교육부/☎720-3410/FAX736-3402 문서번호: 정신 81120-21 시행일자: 1993. 1. 29( 년) 1. 귀하가 우리 부에 제출한 민원에 대한 회신입니다. 孔斌이 쓴 ‘東夷列傳’에 ‘東方禮儀之君子國’이라는 표현이 있다는 것을 알려드리며, 더 자세한 내용은 한국전례연구원(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4가 54, 전화 279-8242, 원장 金得中)에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끝
|
05. 1988년 1월 28일: 광주 금호타이어 강의에서 한국인정신은 ‘우리(仁)’라고 발표 하다.
06. 1988년 11월 20일: 김득중 원장의 저술 ‘우리의 전통예절’을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서 간행하여 1844년 ‘사례편람’ 이후 150년 만에 정통예서의 맥을 이었다는 평가를 받다.
07. 1992년 5월 26일: 김득중 원장의 저술 ‘우리의 생활예절’을 성균관에서 성균관 예절로 수용하여 성균관에서 발행하여 유교권의 예절이 되다.
08. 1993년 11월 6일: “예절의 전문화, 직업화, 자격증 시대에 대비하자”며 예절지도자 교육을 시작하다.
09. 1994년 6월 16일: 정부(보건복지부)에서 “한국전례연구원의 생활예절을 ‘예절의 방위와 상하석의 자료근거’로 채택”해 전국에 시달하다.
10. 1997년 3월 2일: 한국전례연구원 개원 20주년에 500여 문하학자들이 원장을 "韓國禮節의 宗篩로 모시겠다"고 頌德牌를 올리다.
11. 1997년 11월 12일: 김득중 원장이 대학교재로 저술·간행한 ‘실천예절개론’을 정부(문체부장관)에서 우수도서로 추천하다.
12. 2006년 9월 1일: ‘예의생활실천운동 기비’를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장천리에 세우고 그 곳을 이례원(履禮園)이라 명명하다.
禮儀生活實踐運動 旗碑 記文(原旗 和園宅 寶藏) 이 碑 前面의 旗는 禮儀生活實踐運動旗이다. 和園 金得中先生이 “禮節의 나라에 禮節이 없으니 韓國에 韓國이 없다”고 慨嘆하며 傳來禮節을 硏究해 새 時代 새 生活 與件에 接合시키는 데에 뜻을 세우고 1977년 3월 1일에 自費로 韓國典禮硏究院을 設立 專心한지 6년만인 1983년 3월 1일에 이 旗를 만들어 서울 市廳앞에 세우고 禮儀韓國再建과 純然人性涵養을 외치며 禮儀生活을 指導勸告하는 傳單을 돌리는 등 禮儀生活實踐運動을 개시하여 그 전단이 4백여만장에 이르고 月刊實踐禮節을 自費로 刊行하여 12년간에 전국의 교육문화기관에 無價로 郵送한 것이 150여만권이고 禮節冊 20여종을 編著刊行하였으며 1만회의 禮節講義와 6천여회의 禮節放送 및 2천여건의 禮節寄稿 揭載 등 超人的으로 一路邁進하였다. 檀君紀元 4339年 9月 1日 社團法人汎國民禮儀生活實踐運動本部 本部長 崔昌學 謹撰 |
13. 2007년 3월 1일: 한국전례연구원 설립 30주년 및 예의생활실천운동 24주년 행사에서 3천여 문인과 전국 예절인들이 김득중 원장을 ‘韓國禮節의 宗師’로 추숭하다.(1997년 20주년에도 ‘韓國禮節의 宗師’로 推崇했었다.)
3월 1일을 ‘예절인의 날’로 할 것을 합의하다.
韓國禮節의 宗師 推崇牌 韓國典禮硏究院 院長 和園 金得中先生 先生님은 1931년(檀紀 4264년) 4월 忠南 論山市 連山面 官洞里에서 光山金氏 40世로 태어나시다. 朝鮮禮學의 宗長이신 沙溪 金長生선생의 13代孫이 되신다. 자라면서 英明한 데가 있었고 資質이 아름다웠다. 先生님의 萬壽無疆을 祈願합니다. 2007년 3월 1일 韓國典禮硏究院 門下生 一同 드림 추숭패 헌성자: 준비위원회 |
14. 2007년 11월 23일: 김득중 원장이 청소년 보호육성선도 기여헌신 공로로 대한민국 청소년대상 교육대상을 받다.
15. 2007년 12월 4일: 김득중 원장이 전통예절문화 연구지도 국가사회 발전공로로 국민추천 국민훈장을 수훈하다.
16. 2008년 3월 1일: 이례원에서 전국의 예학자 200여명이 회집하여 제1회 ‘예절인의 날’ 선포식을 하고, 이어서 ‘화원 김득중 선생 기념사업회’를 발족하다.
17. 2008년 12월 30일: 한국전례연구원이 자격기본법 제17조 제2항에 의하여 2008년 9월 3일에 등록신청한 민간자격 예절자격증 예절전문인 1급, 2급, 3급과 예정소양인증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이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제2008-0427호로 법정등록 민간자격증이 되었다.
18. 2011년 3월 21일: 재단법인 한국실천예절문화원 설립허가를 받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