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향 가정의례
저 자 : 김득중 |
출판사 : 중화서원 |
판매가 : 25,000원 |
출간일 : 2007년 03월 01일 |
ISBN : 978-89-959193-3-0 |
① 주자의 가례는 우리의 것이 아니었다.(예절자격증 시험준비 지름길) ② 사례편람까지의 옛 예서는 생활여건의 급변으로 실생활에 적용하기가 어려움이 많다. 우리의 전통관습이 아니다. ③ 그렇다고 의례생활을 안할 수도 없고, 사람마다 달리 하면 오히려 혼란만 가중되고, 생활이 어려워질 것이다. ④ 한국전례연구원 30년의 연구와 징험을 토대로 새 시대를 위한 우리의 가정의례 7례3제를 제시하며 '지향 가정의례'를 펴냈다. ⑤ 눈으로 보며 배워지는 전체 원색 인쇄본, 원색사진 560장, 도표·서식(국한문)·양식 230건, 식순·홀기 13가지를 망라함. 4·6배판 404쪽 |
전국 교보문고에 있습니다. |
| |
緖 說
朱熹의 家禮는 원래 우리의 것이 아니었고, 四禮便覽까지의 古禮들은 생활여건의 급변으로 실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1969년에 제정되어 우리의 의례생활에 여러 가지로 갈등을 빚게 했던 '家庭儀禮에 關한 法律'은 1999년 8월 9일에 廢棄되어 法制를 떠나 生活文化의 흐름에 맡겨졌다. 그러므로 오늘 우리의 家庭儀禮 현실은 준용해야 할 규범이 없이 표류 방황하고 있는 混亂期이다.
그렇다고 해서 의례생활을 안할 수는 없고, 더구나 사람마다 달리 한다면 혼란만 가중할 것이다. 時代的 要請에 응하면서 傳統을 살리고 精神을 지키며 文化民族, 禮儀之國의 矜持를 다시 누리기 위해서 당연히 어떤 指向點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여기에 指向 家庭儀禮 7禮3制를 提示한다. 지난 30年間의 硏究와 徵驗을 거치면서 여기에 이른 것이다. 이것을 契機로 討論하고 質正하는 機會가 되기를 念願한다.
檀君紀元 4340(西紀2007)年 3月 1日
韓國典禮硏究院 設立 30周年에 際하여 九宜齋 書室에서 (編著 勸奬者) 韓國典禮硏究院 院長 金得中 惶蹙 |
차 례
제1장 총설/7 제1절 가정의례란 무엇인가?/7 제2절 옛 가례의 성립/7 제3절 현대의 가정의례/8
제2장 공통례/10 제1절 공통례의 의미/10 제2절 위계와 질서/10 제3절 공손한 자세 공수/13 제4절 읍례와 굴신례/18 제5절 절/22 제6절 경례의 종류와 방법/41 제7절 악수의 방법/45 제8절 예절의 방위/47 제9절 상하석의 기준/49 제10절 좌석배치의 실제/52
제3장 작명례/66 제1절 옛 가례의 작명절차/66 제2절 작명례의 목적/66 제3절 우리나라 성명의 특수성/67 제4절 이름의 종류/68 제5절 작명례의 절차/70
제4장 성년례/78 제1절 옛 관례와 계례의 의미/78 |
제2절 관례와 성년례의 시기/79 제3절 고례의 관례 준비와 절차/81 제4절 고례의 계례 준비와 절차/96 제5절 현대 성년례/101
제5장 혼인례/121 제1절 혼례와 혼인의 의미/121 제2절 혼인의 조건/122 제3절 혼인의 정신과 절차의 변천/124 제4절 전통 혼인례의 절차/127 제5절 신식 혼인 예식의 문제점/200
제6장 수연례/206 제1절 수연례의 의미/206 제2절 수연례의 종류/206 제3절 회혼례/208 제4절 수연례 장소의 배설과 상차림/209 제5절 수연례의 절차/210
제7장 상장례/218 제1절 상장례의 의미/218 제2절 상장례의 변천/218 제3절 옛 상장례의 절차/220 제4절 옛 상복의 종류와 기간/221 제5절 현대의 상장례 절차/224
|
제8장 제의례/287 제1절 제의례의 의미/287 제2절 제의례의 변천/288 제3절 제의례의 종류/289 제4절 제의 기구/292 제5절 제의 음식/296 제6절 제수 진설/300 제7절 제의례의 방위와 참예자의 정위치/306 제8절 축문의 서식/308 제9절 기일제사/317 제10절 명절차례/344 제11절 세일사/351 제12절 산신제/358
3制 제1장 가묘제도/360 제2장 묘지제도/370 제3장 예복제도/375 제1절 남자 관례의 예복/375 제2절 여자 계례의 예복/379 제3절 현대 성년례의 예복/380 제4절 남자 혼인례의 예복/380 제5절 여자 혼인례의 예복/381 제6절 고례에 의한 남자의 상복/383 제7절 고례에 의한 여자의 상복/387 제8절 현대 상장례에 의한 상복/388
|